Study/Git
[Git] Git Fork (Source Tree에서 사용해보기)
늅
2021. 5. 7. 15:36
먼저 git fork를 사용하는 이유는 뭘까?
branch를 따서 작업을 하고 push 하여 merge를 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렇게 하다보면 충돌도 해결해야 하고 남의 소스가 날라가거나 내 소스가 날아가는 일이 빈번하다ㅠㅠ..
이런 사태를 피하기 위해 fork를 사용하여 안전한 공동작업을 할 수 있다!
먼저, fork를 받으면 나의 repository/오리지널 repository 이렇게 각각의 저장소로 나뉘며
fork받은 내 repository에서 commit, push를 해도 내 repository에만 반영이 되기 때문에
오리지널 repository 소스를 해칠 위험이 없다.
바로 fork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fork 받고자 하는 repository 우측 상단에 아래와 같이 fork라는 버튼이 있다.
fork 버튼을 누르면 내 repository에 fork받은 repository가 생긴다.
2. 내 repository에서 fork받은 repository를 clone한다.
3. 복사한 주소를 sourcetree에서 clone한다.
여기까지 하면 Fork 받은 repository를 내 local에 받기 완료!
그치만 공동 작업을 하다보면 fork해온 repository에서 변경 된 것을 내 repository로 merge하고 싶을때가 있었다..
아래는 sourcetree에서 하는 방법이다.
1. sourcetree에서 상단 메뉴에 저장소 > 저장소 설정으로 들어간다.
2. 원격 저장소 추가 버튼을 클릭
3. 이름과 url을 입력 후 확인!
이름은 원본인것을 알수있는 이름으로 해주고 url은 꼭 ssh 주소로 할것!
4. 이렇게 sourcetree에 원본 repository가 생긴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원본에 변경사항이 생기면 체크아웃 후 내 repository로 merge해주면 된다.
※ 근데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fork받은 파일은 작업 후 pull request한 뒤 삭제하고 다시 fork받아서 작업을 이어나가는게 바람직하다고 한다..^^.. pull request는 다음번에 ,,♪